e-Book(전자책)
e-Book
e-Book(Electronic Book, 전자책)은 기존 종이책 대신 인터넷 표준인 HTML과 XML을 응용해 만든 디지털화된 책을 자신의 PC나 전용단말기에서 뷰어(viewer)를 이용하여 제공받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이다.
전자책이라고도 하며 세계적으로 online book, file book, digital book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로 그 내용을 읽고 또 보고 들을 수 있도록 디지털 도서, 오디오, 비디오 등의 디지털 기능이 포함된 도서도 포함된다.
e-Book의 구성요소
- 전용단말기 : e-Book의 내용을 다운로드 받아서 이동하며 읽을 수 있는 장치 킨들파이어, 교보 e-book 등
- 제작 툴 솔루션 : 도서 컨텐츠를 e-Book 화하는 제작툴 유프레드
- 뷰어 : 전자책으로 제작한 컨텐츠를 단말기상에서 읽는 인터페이스 제공 플래시북
- 보안솔루션 : 수익을 위한 핵심구성요소 DRM , Water Marking
- 컨텐츠 : e-Book으로 출간될 컨텐츠 소설, 전문서적
e-Book의 장점
- 독자 측면
- 종이 책에 비해 가격 저렴
- 필요한 부분만 구입 가능
- 온라인 구입으로 시작 절약
- 멀티미디어(음악, 동영상) 삽입 가능
- 출판사 측면
- 제작비(원자재비 등) 절감
- 융통비 절감
- 제고 부담 적용
- 내용 업데이트 용이
e-Book의 역사
1940년대 : 전자책 개념
- 전자책 개념이 처음 나왔다. 당시 인기를 끌던 과학소설들은 전자책을 부피가 상당하고 다루기 까다로운 기기로 소개했다.
1971년 : 구텐베르크 프로젝트(Project Gutenberg)
- 전자책이 현실화된 것은 마이클 하트(Michael Hart)가 인류의 자료를 모아 전자 정보로 저장하고 배포하자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Project Gutenberg)를 시작하면서 전자책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 이 프로젝트는 저작권 시효가 만료된 고전 등을 전자책으로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디지털화된 책을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게 하는 가상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었다.
1998년 : 로켓 e북
- 미국 실리콘 밸리의 벤처기업인 누보미디어가 ‘로켓 e북’을 출시하였다.
- 이후 소프트북 프레스의 ‘소프트북’, 에브리북의 ‘에브리북’ 등 다양한 단말기가 출시됐다.
2000년 7월 : 스티븐 킹
- 스티븐 킹(Stephen Edwin King)이 자신의 소설을 다운로드 판매하였다.
2004년 : 소니(Sony)
- 2004년에 1990년에 개발된 전자 잉크의 기술을 채택한 개발된 전자책 전용 디바이스를 ‘리브리에’를 내놓다
- 그러나, 일본어로 만들어진 e-Book이다 보니까, 전 세계의 시장으로 뻗어나가지를 못한다.
2006년 : 소니(Sony)
- 소니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서 2004년 출시된 디바이스를 개량한 e-Book 리더를 출시하게 된다.
- 개량된 e-Book이 나오게 되면서 세계 시장의 상업화가 이루어 진다.
2007년 : 아마존 킨들
- 아마존은 60만권의 방대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킨들"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전자책 시대를 열었다.
- 아마존 킨들의 등장이 바로 킨들로 인해서 전자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바뀌게 된다.
-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또 이 아마존 킨들이 등장한 시점을 기반으로 해서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또 개발이 된다.
e-Book 파일 형태
전자책은 크게 PDF, epub 문서 파일 포맷을 표준으로 하고 있따.
ePub으로 만들면 디바이스 화면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글자 크기나 스타일을 조정하기도, 읽고 스크랩하기도 편하다.
PDF - 디지털 인쇄를 위해 태어난 문서 형식
전자책 업체나 출판사 독자들은 전자책의 제작, 유통, 사용 모든 과정에서 불편과 혼란을 겪었다. 따라서 전자책을 위한 표준화하자는 이슈가 출판계에 등장한다.
하지만, 표준화 작업은 쉽지 않아서 대규모 기업이 독자적으로 표준화 작업을 추진해왔는데 어도비사가 대표적이다. 그래픽 프로그램 전문회사인 어도비(Adobe)는 자신의 디지털 문서포맷인 PDF(Portable Document Format)도 표준 파일 포맷으로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PDF는 미국 어도비 시스템즈(Adobe Systems)에서 만든 디지털 인쇄를 위해 개발한 문서파일 형식(format)으로서, 최근까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애플 맥, 유닉스, 구글 안드로이드 등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읽거나 인쇄할 수 있으며 원본 문서의 글꼴, 이미지, 그래픽, 문서 형태 등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출판계 및 인쇄업계에서 인기가 높은 포맷이다. 글꼴 사용이 제한적인 ePub과는 달리 거의 모든 글꼴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PDF 제작 도구들이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학술논문과 같은 자료는 전자책 파일로 PDF가 선택되고 있다. 이는 각주처리, 특수문자, 확장 한자, 도량형 기호 등 난해한 자료가 많기 때문에 종이 인쇄물과 동일한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PDF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조판형태를 흐트러뜨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ePub - 모든 디바이스에 자유롭게 구현되는 문서 형식
PDF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파일 형식이지만 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크기의 디바이스 화면에서 보기 어렵고 용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오랜 논의와 개발 과정을 거쳐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파일 포맷인 ePub(이펍) 2.0이 제정되었다. 물론 아직까지도 이밖에 다양한 전자책 파일 포맷이 사용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여러가지 기술 환경과 장점들 덕분에 ePub가 전자책의 가장 보편적인 파일 형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ePub 전자책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시길(SIGIL)이다. 시길은 구글이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개발"을 슬로건으로 내건 리눅스 커뮤니티(Linux community)와 손잡고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와 개발자들에게 무료로 공개되어 있다. HTML를 다뤄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배우는 데 전혀 어렵지 않은 프로그램이다. HTML에 대해 전혀 경험이 없는 경우라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유와 참여를 강조하는 리눅스 커뮤니티의 노력 덕분에 시길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와 정보 자료들이 제공되고 있다. ePub는 웹 기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확장성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으며 시길을 제외하고는 효과적인 제작 도구들이 아직 개발되지 않는 편이다. 상품으로 판매되는 유료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Pub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 불필요한 코드가 다수 포함되거나 개선하기 힘든 에러들을 만들어내는 단점이 있다.
e-Book 판매 방법
ePub
ePub 사용 도구
마크다운을 이용해 epub 만들기
pandoc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마크다운문서를 이용해서 epub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설치 방법
Windows와 macOS에서 각각 chocolaty와 homebrew를 이용해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mac 설치 명령
brew install pandoc
Windows 설치 명령
choco install pandoc
사용 방법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Markdown 파일과 생성할 epub 파일명을 지정해서 실행하면 epub 파일이 생성된다.
pandoc note.md -o note.epub
epub 파일을 생성할 때 --css
옵션을 이용하면 epub 생성에 사용할 css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css 파일을 지정하지 않고 epub 을 생성하면 조금은 못생긴 결과물이 생성되었다. github markdown css 나 기타 커스텀 css 를 이용해서 변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자세한 설치와 이용방법은 pandoc 공식 페이지에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유용한 옵션
옵션 | 설명 |
---|---|
-t |
출력 포멧을 지정한다. |
-toc , --table-of-contents |
목차를 생성해서 결과물에 포함시킨다. |
--toc-depth |
목차에 포함시킬 heading 의 깊이를 정한다. 기본값은 3이다. |
--css |
epub 생성에 사용할 css 파일을 지정한다. |
--epub-cover-image |
epub 파일의 커버 이미지 파일을 지정한다. |
사용예)
pandoc source.md -o dest.epub -t epub3 --toc --toc-depth=3 --css=mystyle.css --epub-cover-image=mycover.jpg